전국 평생 학습 강좌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평생학습강좌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6 / 2025-01-11 18:13:27
역사를 배우는 비중이 늘어야 할 텐데.. 518민주화운동이 5월 18일 단 하루만 일어난 일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도 있으니까요. 공교육에서 이렇게 자세히 알려주는 곳은 드물죠..ㅠㅠ 정말 안타깝습니다. ✅ 518민주화운동 루머들을 부숴버림 하놔.... 정신 나간 인간들이 멋대로 말을 지어내서 유언비어를 퍼뜨리는...
쵸포 일기(2025-09-03 17:18:00)
정리 할 수 있어요 ▶ 모바일앱으로 그날 배운 내용을 바로바로 또는 주말에 모아서 복습하고 다이아몬드 획득까지 공부가 저절로 즐거워집니다 완자 공부력...생각보다 복습 시간이 길지 않습니다. 새로운 어휘를 배우는 것이 중요한 만큼 앞에 배웠던 한자 어휘들이 휘발되기전에 누적 복습을 하며 상기 시키고...
달콤살벌자매들♡님의블로그(2025-07-05 21:55:00)
한자를 배우는 아이에겐 아주 성공적인 시작이라고 생각해요! 7살 첫 한자 1권, 2권 단어 카드 그리고 7살 첫 한자 책의 부록 단어카드인데요! 이게...교재 1장하고, 단어카드를 한 바퀴 돌렸어요! 이렇게 한 묶음으로 모아서 한 장씩 넘기며 읽어보게 하는 거죠! 헷갈려 하면 뒤로 돌려서 보여줍니다 훈과...
내맘대로 끄적이는 기록 ღ(2025-05-23 12:54:00)
습관처럼 한자를 쓰게되는 ,,,^^) 으로 두 항차를 배선하면서, 인천에 Laker 배를 처음 보러 책임님들이랑 같이 출장을 갔다 ㅎ 제철 담당자도 가는걸 알았다면 절~~~대 안갔을텐데 책임님이 말 안해줬다 평소에 띄우는 58K, 63K 수프라 울트라막스 사이즈가 아니라 beam이 되게 좁은데 얇고 긴 선형이 참 신기했다...
나의 공간(2025-08-16 17:10:00)
및 후기는 상단의 포스팅 참고해주세요 😁 유도 시작하기 전 반드시 필요한 유도복!! 🥋 저희 도장은 3개월 등록 시 도복 무료 증정 이벤트를 진행하고...성실함은 자신 있답니다. 😎 승급 하면서 띠 색깔 바뀌는게 뭔가 게임에서 레벨업 하는 느낌이고 새 기술 배우는 것도 정말 재밌더라구요. 노란띠는 따로 주문...
해피현츄데이(2025-06-15 20:39:00)
곳에 모아서 외국인들과 네트워킹 파티라고 해서 연말에 크게 소셜 개더링을 했었습니다. 저는 제 친구랑 거기를 가려고 전화를 했는데 한 친구는 바빠서 못 갔고 한 친구는 간다고 하긴 했었습니다. 전날인가? 갑자기 바쁜 일이 있다고 하여 캔슬하였고 저 혼자 참석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혼자서 잘 돌아다녀서...
내일은 George!(2025-07-03 18:41:00)
얼굴만 모아서 보여줘” → 얼굴을 인식하고 분류하는 것도 AI! 쇼핑 추천 쿠팡이나 네이버에서 “이런 상품은 어떠세요?” → 구매 패턴을 분석해, 나에게 맞는 상품을 보여주는 것도 AI의 작품입니다. 기사 요약과 뉴스 읽기 ‘오늘의 요약 뉴스’, ‘한눈에 보는 정치’ 같은 콘텐츠도 AI가 만든 경우가 많습니다...
신중산 문화예술 센터(2025-06-04 11:40:00)
다 모아서 따로 외웠다네요 근데 사실 머리에 안들어와서 외워지지는 않았고, 숫자 특이한거나 일관성 약간 있는 조건들만 대충 암기하고 시험보러 갔습니다(이러지 마세요^^) 무역규범의 경우 특히나 더 회독이 답인듯 하고, 암기를 잘 못하신다면 꾸준히 계속 읽어서 머리에 이런 숫자나 말이 들어갔을 때 뭔가 이상...
Ce n'est qu'amour ici!(2025-08-14 19:39:00)
처음 배우는 아이들을 위한 이런 교재가 생각나는 디자인이다. Previous image Next image 백수백복도10폭병풍, 이형록, 19세기, 비단에 채색, 서울역사박물관 이 백수백복도는 무려 200자가 그려져 있다. 다른 작품에서 볼 수 없는 서체가 많았다. 열매나 대나무 가지 같은 자연물을 활용한 디자인이 많아 특히 흥미...
참참참(2025-05-22 19:34:00)
자제를 모아서 선택 교육하는 고급 서당으로 볼 수 있었다. 대구의 이락서당 그렇다면 이런 서당들은 어떻게 운영되었을까? 일단 ‘훈장(訓長)’은 직업적인 지식인, 또는 마을의 유식한 사람을 초빙하여서 불렀다. 그들의 학식 수준은 일정하지 않고 마을마다 달랐기에 천차만별이었다. 그들의 봉급은 먹고 살 만한...
[역사와 정보]로 어떻게 살 것인가(2025-04-18 16:27: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